[작성자:] englang

  • [영어표현] no way to tell → 알 방법이 없다, 알 수 없다

    🧠

    📘 의미 & 정의

    알 방법이 없다, 알 수 없다
    It is impossible to know, determine, or distinguish something for certain. 💬

    🗣 대표 문장

    👉 There's no way to tell if he's lying or not.

    🗣️ 그가 거짓말을 하는지 아닌지 알 방법이 없어.

    👉 There's no way to tell if he's lying or not.

    🗣️ 그가 거짓말을 하는지 아닌지 알 방법이 없어.

    💡 표현 설명

    ‘no way to tell’은 어떤 사실이나 정보, 결과 등에 대해 확실히 알거나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정보 부족, 증거 없음, 상황의 모호함 등으로 인해 진실, 이유, 미래의 결과 등을 전혀 예측하거나 분간할 수 없을 때 쓰입니다. 여기서 ‘tell’은 ‘말하다’가 아니라 ‘알다(know)’, ‘분간하다(distinguish)’, ‘판단하다(determine)’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직역하면 ‘알려줄/구분할 방법이 없다’가 되며, 실제 의미는 ‘도저히 알 수가 없다’, ‘판단할 근거가 전혀 없다’는 불확실성을 강조합니다. 때로는 약간의 답답함이나 체념의 뉘앙스를 풍기기도 합니다. 보통 ‘There is no way to tell…’의 형태로 많이 쓰이며, 미래 예측, 사람의 속마음, 숨겨진 진실 등 확실하지 않은 모든 상황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미드 예문

    “Is she happy about the news? There's no way to tell with her.”

    그녀가 그 소식에 기뻐하는 걸까? 그녀는 속을 알 수가 없어.

    출처: Grey's Anatomy, Season 11, Episode 5

    “We found this note, but there's no way to tell who wrote it.”

    이 메모를 찾았지만, 누가 썼는지 알 방법이 없어요.

    출처: Sherlock, Season 2, Episode 1

    “Will the experiment work? Honestly, there's no way to tell until we try it.”

    실험이 성공할까? 솔직히, 직접 해보기 전까진 알 방법이 없어.

    출처: Stranger Things, Season 3, Episode 6

    “He looks calm, but there's no way to tell if he's actually okay.”

    그는 침착해 보이지만, 실제로 괜찮은 건지 알 길이 없어.

    출처: The Good Place, Season 1, Episode 9

    🔁 유사 표현

    It's hard to say/tell

    알기 어렵다, 말하기 어렵다

    'no way to tell'보다는 약한 표현으로, 완전히 불가능하다기보다는 판단하기 어렵거나 애매하다는 뉘앙스입니다.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확신하기 어려울 때 사용합니다.

    It's hard to tell if he's joking or serious.

    🗣️ 그가 농담하는 건지 진담인지 알기 어려워.

    Who knows?

    누가 알겠어?

    아무도 모른다는 의미의 수사적인 질문입니다. 좀 더 가볍고 캐주얼한 느낌으로 불확실성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Where will we be in ten years? Who knows?

    🗣️ 10년 뒤에 우리가 어디에 있을까? 누가 알겠어?

    It's impossible to know

    알기란 불가능하다

    'no way to tell'과 의미는 거의 같지만, 좀 더 직접적이고 단정적인 표현입니다. 객관적인 불가능성을 강조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Without more data, it's impossible to know the exact cause.

    🗣️ 더 많은 데이터 없이는 정확한 원인을 알기란 불가능합니다.

    Your guess is as good as mine

    나도 너만큼 모른다

    특히 미래 예측이나 추측에 대해 상대방과 내가 똑같이 모른다는 점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의 추측은 누구든 비슷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Will it rain tomorrow? Your guess is as good as mine.

    🗣️ 내일 비가 올까? 나도 몰라. (네 추측이나 내 추측이나 마찬가지일 거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영어표현] get ~ straight → 분명히 하다, 명확히 이해하다

    🧠

    📘 의미 & 정의

    분명히 하다, 명확히 이해하다
    To understand something clearly, especially when it seems confusing or surprising, or to ensure that there is no misunderstanding. 💬

    🗣 대표 문장

    👉 Let me get this straight.

    🗣️ 이거 확실히 하자 / 내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할게.

    👉 Let me get this straight.

    🗣️ 이거 확실히 하자 / 내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할게.

    💡 표현 설명

    ‘get ~ straight’는 어떤 정보나 상황이 혼란스럽거나, 믿기 어렵거나, 모순될 때 그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거나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특히 상대방의 말이나 설명이 충격적이거나 이해하기 힘들 때, ‘Let me get this straight…’라고 말하며 ‘잠깐, 내가 제대로 이해한 게 맞는지 다시 정리해볼게’라는 뉘앙스로 사용됩니다. 직역하면 ‘~을 똑바로 놓다/하다’이지만, 실제로는 ‘꼬인 생각이나 혼란스러운 정보를 명확하게 정리하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이 표현은 단순히 정보를 확인하는 것 이상으로, 약간의 놀람, 불신, 혹은 상황을 확실히 짚고 넘어가려는 의지를 내포할 수 있습니다. 대화 중 오해를 바로잡거나, 복잡한 지시를 확인하거나, 논쟁 중에 요점을 명확히 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Let me get this straight’, ‘We need to get our facts straight’ 등의 형태로 많이 쓰입니다.

    🎬 미드 예문

    “Wait, wait. Let me get this straight. You lied to your boss to go on a date?”

    잠깐만. 내가 제대로 이해한 거 맞아? 너 데이트하러 간다고 상사한테 거짓말한 거야?

    출처: Friends, Season 6, Episode 7

    “Let me get this straight. You’re suggesting that the key to manipulating my girlfriend is deliberately withholding affection?”

    정리 좀 해보자. 내 여자친구를 조종하는 비결이 일부러 애정 표현을 보류하는 거라고 제안하는 거야?

    출처: The Big Bang Theory, Season 5, Episode 10

    “Let me get this straight. You took Claire's old car without asking?”

    이것 좀 확실히 하자. 네가 클레어의 예전 차를 허락도 없이 가져갔다고?

    출처: Modern Family, Season 2, Episode 8

    “Okay, let me get this straight. You want me to pretend to be your fiancé?”

    알았어, 확실히 해두자. 네가 원하는 건 내가 네 약혼자 행세를 하는 거라고?

    출처: The Proposal (Movie, 2009)

    🔁 유사 표현

    clarify

    명확하게 설명하다

    'clarify'는 주로 말하는 사람이나 글쓴이가 자신의 의도나 내용을 더 분명하게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듣는 사람의 혼란을 없애기 위해 추가 설명을 제공하는 뉘앙스이며, 'get straight'보다 더 공식적일 수 있습니다.

    Could you clarify what you mean by 'flexible hours'?

    🗣️ '탄력 근무 시간'이 무슨 뜻인지 명확히 설명해 주시겠어요?

    make sure / be sure

    확실히 하다, 확인하다

    'make sure' 또는 'be sure'는 어떤 사실이나 정보를 확인하여 오해가 없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get straight'처럼 놀람이나 불신의 뉘앙스는 약하며, 단순히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I just want to make sure I wrote down the correct address.

    🗣️ 제가 주소를 정확히 적었는지 확인하고 싶어요.

    sort out

    정리하다, 해결하다

    'sort out'은 여러 가지 복잡하게 얽힌 문제나 세부 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거나 해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이해를 명확히 하는 것을 넘어, 문제 해결이나 조직화의 과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We need to sort out the travel arrangements for the conference.

    🗣️ 우리는 학회 관련 여행 준비 사항들을 정리해야 합니다.

    understand correctly

    정확히 이해하다

    'understand correctly'는 'get straight'와 의미는 유사하지만, 감정적인 뉘앙스(놀람, 불신 등) 없이 중립적으로 이해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좀 더 정중하거나 객관적인 상황에 어울립니다.

    If I understand correctly, the meeting has been postponed?

    🗣️ 제가 정확히 이해했다면, 회의가 연기된 건가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워드프레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것은 첫 글입니다. 바로 편집하거나 삭제한 다음 쓰기 시작하세요!